728x90
반응형
“연금저축을 넣을까, 퇴직연금을 굴릴까?”
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고민하게 되는 문제입니다. 두 상품 모두 세액공제와 노후 대비에 유리하지만, 구조와 목적은 꽤 다릅니다.
1. 기본 구조 비교
항목 | 연금저축 | 퇴직연금(IRP 포함) |
---|---|---|
가입 주체 | 개인 | 회사 + 개인 |
납입 주체 | 개인만 | 회사 + 추가 납입 가능 |
세액공제 | 연 400만 원 한도 (최대 660,000원 환급) | 연금저축 포함 총 700만 원 한도 |
인출 조건 |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| 동일 |
해지 시 패널티 | 세액공제 환수 + 기타소득세 | 동일 |
2. 절세 효과 비교
- 💰 연금저축: 소득 있는 누구나 가입 가능, 환급 간편
- 💼 퇴직연금(IRP): 회사에서 퇴직금이 자동 적립되며, 추가 납입 시 공제 효과 있음
- 📊 둘 다 쓰면 연 700만 원 세액공제 한도까지 활용 가능
3. 운용 가능 자산
- 📈 연금저축: 펀드, ETF, 예금 등 자유롭게 운용 가능
- 📉 IRP: 예금, 채권, EMP 중심으로 다소 보수적
- ✅ ETF를 적극 활용하고 싶다면 연금저축이 유리
4. 상황별 추천 전략
- 👤 직장 초년생 → 연금저축 먼저 시작 (운용 자유도↑)
- 👥 퇴직금 발생 예정 → IRP 개설하여 이관 + 추가 납입
- 💡 연말정산 환급 극대화 → 연금저축 400 + IRP 300 구성
5. 가입자 수 비교 (2025 기준)
구분 | 연금저축 | IRP |
---|---|---|
가입자 수 | 약 670만 명 | 약 550만 명 |
총 적립금 | 70조 원 이상 | 60조 원 이상 |
평균 수익률 | 연 4~6% | 연 3~5% |
6. 핵심 요약
- ✔️ 연금저축: 자율성, ETF 운용, 세액공제 모두 유리
- ✔️ IRP: 퇴직금 수령용, 추가 납입 시 절세 가능
- ✅ 가장 좋은 방법: 둘 다 활용해서 공제 한도 극대화
퇴직연금은 자동으로 쌓이고, 연금저축은 직접 키우는 노후 자산입니다.
당신의 상황에 맞춰 전략적으로 선택해보세요.
728x90
반응형
'금융·재태크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 조건과 신청 방법 총정리 (2025 최신) (1) | 2025.06.11 |
---|---|
직장인 절세 끝판왕 – 연금저축 + IRP + 청년도약계좌 조합 전략 (2025 필승 가이드) (3) | 2025.06.11 |
30대 직장인 기준, 연금저축으로 몇 살까지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? (투자 시뮬레이션) (1) | 2025.06.11 |
연금저축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될까? (페널티 정리 & 손해 계산) (0) | 2025.06.11 |
연금저축 수수료 비교 – 어디서 가입해야 가장 이득일까? (2025 최신) (0) | 2025.06.11 |